티스토리 뷰

증여세 계산방법 및 면제한도액 에 대한 내용과, 증여세율 의 정확한 정보를 담은 글을 남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번 증여세 계산 방법

 

증여세 계산 방법 은 증여세율 , 누진공제액 , 면제한도액 만 알고 있다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을 먼저 구해 증여세율 에 곱하면 납부하여야 하는 증여세 가 계산되는데요 과세표준 은 아래의 산식으로 구하실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 증여금액 - 누진공제금액 - 면제한도액

 

과세표준을 구하셨다면 나온 과세표준에 증여세율 을 곱하면 증여세가 계산됩니다. 

 

증여세 계산이 복잡하시다면 자동계산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국세청 홈택스의 증여세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증여세 계산 이 가능합니다.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한다음 오른쪽 하단에 있는 세금종류별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세금 모의계산 서비스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부분을 클릭하여 접속하시면 됩니다. 

 

 

위와같은 모의계산 사이트로 이동되는데요, 여기에서 증여세 자동계산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증여세 자동계산하기 를 눌러주면 바로 증여세 계산이 가능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위 페이지로 이동되었다면 간편계산 혹은 자동계산 을 이용하여 증여세 계산 을 정확하게 진행하여 보실 수가 있습니다. 

 

증여세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2번 증여세 면제한도액

 

증여세 면제한도액 은 아주 간단하지만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중 하나입니다. 

 

직계비속, 직계존속, 배우자, 기타친족 등에 대한 증여세 면제한도액 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가로 참고하셔야 할 부분은, 직계비속 및 직계존속 의 면제한도액은 10년 기준으로 5천만원 이나 만약 대상자가 만 18 세 이하의 미성년자 일 경우에는 2천만원으로 하락적용되니 착오없으시기를 바랍니다. 

3번 증여세율

 

증여세율 1억원 이하부터 하여 30억원 초과까지 총 5가지 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각 증여세율 과 함께 누진공제액이 다르게 적용되므로 이 부분을 모두 파악하여 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증여의 경우 위의 표를 참고하여확인하시면 되고 가업승계 증여나, 창업자금 증여같은 경우에는 30억원 한도내에서 10% 의 증여세율 이 적용되며 30억원 초과일 경우는 20% 의 증여세율 이 적용됩니다. 


 

 

상속세율 및 상속세 계산 총정리

상속세율 및 상속세 계산 을 설명 드리기 앞서 우리나라의 상속세 는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 확인하여 두고 최대한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익혀

happymaker3.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