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서비스 는 기존부터 운영되고 있던 국가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불합리한 일을 겪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혼자 힘으로 해결할 수 없을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인데요, 최근에는 코로나 로 인해 생기는 여러문제들로 인해 많은분들이 이 서비스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서비스에 대해 제대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여 드리겠습니다.
1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이용하기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는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개인 본인인증 을 통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임에도 많은 분들이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크게 어려움이 없는 서비스 이기 때문에 너무 사소한 문제가 아닌 이상 혼자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여 있다면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서비스를 한번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민신문고
국민지원금 이의신청 '21.9.6.부터 11.12.까지 신청가능합니다.
www.epeople.go.kr
위 링크를 이용하여 이동하면 바로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2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상단 메뉴의 링크를 이용하여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로 이동하면 바로 이용가능한 메뉴가 나옵니다.
최근 많은 분들에게 이슈가 되고 있는 국민지원금 에 대한 이의신청 을 원하시는 분들은 메인화면에서 바로 오른쪽 항목을 클릭하여 이동하면 바로 국민지원금 과 관련된 이의신청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지원금 과 관련된 이의신청에 대해서는 신청기간이 11월 12일까지로 얼마남지 않았기 때문에 지원금과 관련하여 불합라하다고 생각되시는 분들은 이 기간내에 빠르게 이의신청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이외에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서비스를 이용하시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메인화면에서 왼쪽 메뉴를 클릭하여 홈페이지로 접속하면 됩니다.
메인사이트로 이동하였다면 국민신문고 민원신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하여 줍니다.
너무 사소한 민원이나 장난으로 민원을 신청하는 일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개인의 인증이 선행된 회원가입을 완료하여야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기를 바라며 먼저 회원가입을 진행하신 이후 이용하셔야 합니다.
회원가입은 누구나 쉽게 진행이 가능하며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수단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완료하였다면 메인화면에 있는 메뉴를 이용하여 바로 민원신청이 가능합니다.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에서는 민원사례검색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민원을 넣기전 이전 사례가 없는지 먼저 검색해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간단한 민원사항에 대해서는 사례검색을 통하여 기존 민원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진행한 민원에 대해서는 결과조회를 통해 진행결과를 확인하여 볼 수 있습니다.
민원신청 이외에도 행정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신고 및 신청이 가능하며 갑질 피해등을 당했을 경우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다양한 항목을 제공하고 있으니 원하는 메뉴를 통해 국민신문고 서비스를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스템 관련하여 유선으로 이용문의도 가능합니다.
엑셀 무료다운로드 최신버전
엑셀 무료다운로드 를 원하시는 분들이 많아 가장 안전한 루트를 찾아 안내하여 드리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제공하는 엑셀 365 서비스와 기존에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구버전
happymaker3.tistory.com
삼쩜삼 사기 ? 미수령 환급금 15만원 수령하기
제거 삼쩜삼 사기 ? 라고 오해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누구에게는 높다고 할 수도, 누구에게는 합리적이라고 할 수도 있는 수수료 때문에 나온 말인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
happymaker3.tistory.com
'생활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독 중고차 시세표 및 중고차 매매사이트 추천 (0) | 2021.10.19 |
---|---|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사이트 (0) | 2021.10.18 |
엑셀 무료다운로드 최신버전 (0) | 2021.10.18 |
증여세 계산 방법 과 면제한도액 , 증여세율 최신판 (0) | 2021.10.15 |
상속세율 및 상속세 계산 총정리 (0) | 2021.10.14 |